-
XLP ETF 투자 - 필수소비재 섹터에서 찾는 안정적인 배당과 성장경제, 재테크 2025. 3. 9. 12:36
미국 배당주를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여러 투자관련 서적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들이 있는데 그것은 돈을 잘 벌어서 PER이 계속 낮아지고, 영업이익률이 30% 이상이며, ROE가 계속 증가하는 기업은 투자하기 좋은 기업이라고 합니다.
< 출처 : 월 50만 원으로 8억 만드는 배당머신. 평온작가 책 중에서 > 워렌 버핏도 ROE가 15% 이상인 기업에 관심을 가졌고, ROE가 25% 이상인 기업은 투자하기 매우 좋은 기업이라고 했습니다.
당연히 1년치의 ROE만 보면 안되겠죠. 워렌 버핏은 3년 평균치를 살펴보는데,
실제로 버핏이 투자하는 기업의 ROE는 25%가 넘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시가 총액 30위에 드는 기업 중 ROE가 25% 이상인 기업은
한미반도체와 메리츠금융지주 딱 2개입니다.
(한미반도체 55.54%, 메리츠금융지주 28.11%) 워렌 버핏의 기준에 따르면 한국에는
투자할 만한 기업이 2개뿐인 것입니다.(이것도 1년치만을 기준으로 평가.)
< 코스피 시총 30위 기업의 ROE 비교, 출처 : 평온 작가 배당머신 책 중에서 > 그렇다면 배당주를 고르는 첫 번째 기준은 대형주 중에서 배당을 지속하는 주식을
찾는 겁니다. 아무리 경기 침체가 극심해져도 안 망할 사업 모델을 가진
제약주, 통신주, 유틸리티(전기, 폐기물 처리, 물), 필수 소비재 기업은 배당 투자에
적합한 종목 들입니다.
미국 폐기물 처리 및 재생산 관련주 웨이스트 매니지먼트(Waste Management, WM) 기업 주식 분석 - 2023
오늘은 저도 소량으로 투자하고 있는 미국 기업인 웨이스트 매니지먼트(Waste Management, WM)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웨이스트 매니지먼트(Waste Management, 이하 글에서는 WM로 표현)는 폐기물 처
mootk10.tistory.com
아무리 경기가 어려워지더라도 자녀들에게 코카콜라 한 병은 사줄 수 있고,
아무리 힘들어도 물과 전기는 써야 하고 생활 폐기물은 발생합니다.
또한 경기 침체가 왔다고 약을 안먹거나 전화를 끊을 수는 없습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종목들은 웬만해선 망하지 않으며, 오랜 기간 배당을 늘려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투자 자산의 일부를 이러한 안정적인 배당주에 투자해야 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본업에도 바쁜 우리 개인 투자자가 이러한 모든 것을 공부하고
챙겨보는 것이란 정말 어려운 일 이라는 것은 모두 공감하실 겁니다.
그런 경우 대안이 ETF를 투자하는 것인데, 이러한 배당을 잘 주고 필수 소비재 기업들만
모아서 투자하는 ETF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XLP ETF는 미국 필수소비재(Consumer Staples) 섹터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로,
경기 변동에도 강한 안정성을 자랑하는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XLP ETF의 개요, 주요 종목 구성, 장점과 단점, 그리고 투자 전략까지 자세히 분석하여,
투자자들이 성공적인 투자를 하시는데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글에 도움이 되신다면 공감버튼 한번 눌러주세요!!^^
1. XLP ETF 의 소개
ETF명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SPDR Fund (XLP) 운용사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SSGA) 설립연도 1998년 12월 16일 운용자산(AUM) 약 180억 달러 (2024년 기준) 보유종목 수 약 35개 배당수익률 약 2.5% 비용 비율 (Expense Ratio) 0.10% 섹터 필수소비재 (Consumer Staples) 추종지수 S&P 500 Consumer Staples Index XLP는 미국 대형 필수소비재 기업 35개를 포함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경기 방어적인 특징을 갖춘 ETF입니다.
2. XLP ETF 의 주요 종목 구성
XLP는 필수소비재 섹터의 대표적인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위 10개 종목이 ETF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순위 종목명 (티커) 비중 (%) 주요 사업 1 Procter & Gamble (PG) 15.61% 생활용품 (기저귀, 세제, 화장품) 2 Coca-Cola (KO) 9.61% 탄산음료 및 음료 3 PepsiCo (PEP) 9.47% 음료 및 스낵류 4 Costco (COST) 9.09% 창고형 할인마트 5 Walmart (WMT) 4.91% 대형 유통업체 6 Mondelez (MDLZ) 4.57% 초콜릿·과자 (오레오, 초콜릿 등) 7 Colgate-Palmolive (CL) 4.24% 치약, 세제 등 생활용품 8 Estee Lauder (EL) 2.86% 화장품 (맥, 바비브라운) 9 Kimberly-Clark (KMB) 2.83% 기저귀, 화장지 등 10 General Mills (GIS) 2.64% 식품 (시리얼, 냉동식품) 이러한 종목들은 경기 침체기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XLP ETF의 장점
✅ 1) 경기 방어적 섹터 (Defensive Sector) : 소비재 기업은 식품, 음료, 가정용품 등 필수품을 생산합니다. 이러한 제품은 필수품이며 경제 상황에 관계없이 수요가 일정 유지되기에 경기 침체가 오더라도 덜 민감하게 반응하여 방어적 주식으로 간주됩니다.
- 필수소비재 기업들은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꾸준한 수요를 보유
- 경기 침체 시에도 소비자들이 필수 제품을 지속적으로 구매
✅ 2) 안정적인 배당 수익 (Dividend Stability) : P&G, 코카콜라 등 많은 소비재 기업은 배당킹 기업으로 50년 이상 큰 경기 침체기에도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증가하여 지급하였으며 이는 안정적인 수입 제공하여 버틸 수 있는 힘이 됩니다. 특히 성장주가 어려움을 겪을 때 반대로 매력적인 주가 수익을 보이는 성향이 있습니다.
- XLP는 배당 귀족주(Dividend Aristocrats) 중심으로 구성
- 배당수익률 약 2.5%로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 기대 가능
✅ 3) 변동성이 낮음 (Low Volatility) : 낮은 변동성, 즉 방어적 성격으로 시장 침체기에 위험을 회피하고 싶어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있는 ETF 입니다.
- 나스닥 기술주(QQQ) 대비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인 투자 가능
- 하락장에서 방어력이 강해 장기 투자에 적합
✅ 4) 인플레이션 방어 효과 (Inflation Hedge) : 소비재 기업은 수요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도 소비자에게 더 높은 비용을 전가할 수 있어, 인플레이션이나 투입 비용 상승 기간에도 회복력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 필수소비재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 시 제품 가격을 인상하여 이익률 방어 가능
- Costco, Walmart 같은 대형 유통업체는 물가 상승기에도 안정적인 매출 유지
4. XLP ETF의 단점
❌ 1) 고성장 산업 대비 낮은 수익률 : 성장주가 치고 올라서는 시기에는 상대적인 포모를 느낄 수 있습니다.
- 기술주 ETF(QQQ) 대비 장기 수익률이 낮을 가능성이 있음
- 자본 차익보다는 안정적인 배당 중심의 ETF
❌ 2) 소수 종목에 집중 : 상위 4개 종목에 편중.
- 상위 4개 종목(PG, KO, PEP, COST)이 포트폴리오의 45% 이상 차지
- 특정 기업 실적 부진 시 ETF 전체 성과에 영향
❌ 3) 금리 상승기 영향
- 배당 중심 ETF는 금리 상승 시 매력이 다소 감소
- 하지만 필수소비재 기업들은 가격 결정력이 있어 상대적으로 방어 가능
5. XLP vs 다른 ETF 비교
ETF XLP (필수소비재) SCHD (고배당) VIG (배당성장) QQQ (나스닥) 주요 전략 방어적, 안정적 배당 고배당, 기업 재무 건전성 배당 성장, 장기 투자 고성장 기술주 중심 배당수익률 2.5% 3.7% 1.8% 0.7% 변동성 낮음 중간 중간 높음 장기 성장성 중간 중간 높음 매우 높음 금리 영향 낮음 높음 중간 높음 XLP는 경기 방어적인 성격이 강하고, 안정적인 배당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6. 결론 : XLP ETF는 투자할 만한가?
✅ XLP는 다음과 같은 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1️⃣ 배당과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투자자.
2️⃣ 경기 침체에도 견딜 수 있는 방어적인 포트폴리오 구성하려는 투자자.
3️⃣ 기술주의 변동성이 부담스러운 투자자.
🚀 추천 투자 전략 : 포트폴리오 조합(배당 재투자는 필수)
1️⃣ 배당 성장 포트폴리오 조합 : XLP + SCHD 구성
2️⃣ 방어적 포트폴리오 조합 : XLP + 채권(BND) ETF + 개별주(PG, KO, JNJ)
📌 한줄 요약
XLP는 경기 방어적이고 변동성이 낮은 안정적인 ETF로, 장기 배당 성장 투자에 적합하다!
감사합니다.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 금 투자 전략 및 ETF 비교, 세금까지 정리" (0) 2025.03.14 "고배당 성장주 찾는 법! ROE 20%+ EPS 20%+ 배당 2%+ 종목 공개" (3) 2025.03.13 핀비즈(FinViz)로 숨은 보석 같은 주식 찾는 법 (0) 2025.03.12 4억 원 투자로 매월 배당받는 ETF + 배당 성장주 포트폴리오 (배당 재투자 시뮬레이션 포함) (1) 2025.03.10 초보자를 위한 주식투자 전략과 안정적인 미국 ETF 포트폴리오 추천 (0) 2025.03.06 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신청방법 총정리 (0) 2025.03.06 SCHD ETF 수익률 분석(월 50만 원 투자로 10억 만들기) (0) 2025.03.06 대체거래소(ATS)인 '넥스트레이드(NXT)' 출범으로 한국 주식시장에서 변경되는 것들 (2) 2025.03.04